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진통제 성분 분류!

by 프리님2 2025. 3. 24.

얼마전에 진통제가 떨어져서 미리 사러 갔었습니다. 

생리통엔 저는 항상 탁센을 먹는데요. 그래서 동네 약국에 가서 탁센 있어요? 하고 항상 물어봅니다.

대부분 있어서 별로 신경을 안썼는데요. 

약사분께서 그렇게 말하지 말고 진통제 성분을 얘기하라고 하시더라고요

그러면서 확인을 해주시는데, 탁센과 다른 회사의 약의 제조장소가 똑같더라고요

그러니까 성분을 얘기하면 된다고 아니면 찾는 약이 없으면 돌아다녀야하니까 하면서 알려주시고, 직접 써 붙여 주셔서 찍어 왔습니다.

공유드릴게요~~

 그리고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진통제는 주성분에 따라 크게 해열진통제(Acetaminophen 등),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 마약성 진통제(Opioids), 신경병증성 진통제(항우울제·항경련제 포함) 등으로 분류할 수 있어.

1. 해열진통제 (Acetaminophen 계열)

  • 대표 성분: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 파라세타몰)
  • 작용 기전: 중추 신경계에서 통증과 열을 조절하는 프로스타글란딘 합성을 억제
  • 특징:
    • 해열·진통 효과는 있지만, 소염 작용은 거의 없음
    • 위장 장애가 적고 비교적 안전하나, 과다 복용 시 간 손상 위험
  • 대표 제품: 타이레놀, 펜잘, 게보린(복합제)

2.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NSAIDs, 비마약성 진통제)

COX-1 & COX-2 억제제 (전통적 NSAIDs)

  • 대표 성분:
    • 이부프로펜(Ibuprofen) → 대표적인 비스테로이드 소염진통제
    • 나프록센(Naproxen) → 진통 지속시간이 긴 편
    • 아스피린(Aspirin) → 항혈전 효과로도 사용됨
    • 인도메타신(Indomethacin), 케토프로펜(Ketoprofen) 등
  • 작용 기전: COX 효소를 억제하여 염증 및 통증 유발 물질(프로스타글란딘) 생성 차단
  • 특징:
    • 해열·진통·소염 효과 모두 있음
    • 장기 복용 시 위장 출혈, 신장 기능 저하 가능
  • 대표 제품: 부루펜, 낙센, 탁센

COX-2 선택적 억제제 (위장 장애 감소)

  • 대표 성분:
    • 셀레콕시브(Celecoxib)
    • 에토리콕시브(Etoricoxib)
  • 특징:
    • 전통적인 NSAIDs보다 위장 장애가 적음
    • 심혈관 질환 위험 증가 가능성 있음
  • 대표 제품: 셀레브렉스

3. 마약성 진통제 (Opioids)

  • 대표 성분:
    • 코데인(Codeine) → 중등도 통증 완화, 기침 억제 효과
    • 트라마돌(Tramadol) → 비마약성으로 분류되지만 오피오이드 유사 작용
    • 옥시코돈(Oxycodone), 모르핀(Morphine), 펜타닐(Fentanyl) → 강력한 진통 작용
  • 작용 기전: 중추신경계의 아편 수용체(Opioid Receptor)에 결합하여 통증 신호 차단
  • 특징:
    • 강력한 진통 효과가 있지만, 의존성과 중독 위험이 있음
    • 변비, 구토, 호흡 억제 등의 부작용
  • 대표 제품: 트라마돌(울트람), 옥시코돈(옥시콘틴), 펜타닐 패치

4. 신경병증성 진통제 (신경 손상 통증 완화)

  • 대표 성분:
    • 가바펜틴(Gabapentin), 프레가발린(Pregabalin) → 신경통 완화
    • 아미트리프틸린(Amitriptyline) → 삼환계 항우울제(TCA), 신경병증성 통증 치료
    • 듀록세틴(Duloxetine) →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SNRI)
  • 작용 기전: 신경 전달물질 조절을 통해 신경성 통증 완화
  • 특징:
    • 일반 진통제로 효과가 없는 신경병증성 통증(당뇨병성 신경통, 대상포진 후 신경통 등)에 사용
    • 졸림, 어지러움, 체중 증가 등의 부작용 가능
  • 대표 제품: 리리카(프레가발린), 뉴론틴(가바펜틴), 심발타(듀록세틴)